게임

닌텐도 스위치2, 일본은 50만원인데 한국은 65만원? 왜 이렇게 차이날까?

원더테크 2025. 4. 7. 22:34

최근 닌텐도 스위치2 가격이 공개되면서 많은 게이머들이 깜짝 놀랐습니다.
"일본에서는 50만 원인데, 왜 한국에서는 65만 원이지?"라는 반응이 정말 많았죠.
저도 처음 봤을 때 '이건 무슨 차별인가?' 싶었는데, 자세히 알아보니 꽤 논리적인 이유가 있더라고요.

아........ 너무 비싸잖아 ㅂㄷㅂㄷ

일단 가격 차이부터 정리해볼게요

지역 모델 가격 특징
일본 내수 전용 모델 약 50만 원 일본어 전용, 지역 제한 있음
한국 글로벌 모델 64만 8천 원 다국어 지원, 글로벌 계정 호환

아.. 비싸도 갖고싶다.. 요녀석!!!

그럼 왜 이렇게 가격이 다른 걸까요?

닌텐도는 일본에서는 자국 소비자들을 위한 '일본어 전용 모델'을 따로 출시합니다.
이 모델은 글로벌 계정 연동이 어렵고, 언어 지원도 한정적이에요. 그래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거죠.

반면, 한국에 출시되는 정식 제품은 글로벌 모델입니다.
다국어를 지원하고, 전 세계 닌텐도 계정과 연동도 가능하니까 당연히 가격이 더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어요.

추가로 이런 요인들도 있어요

  • 관세와 부가세: 한국은 전자기기 수입 시 세금이 붙습니다.
  • 환율: 원화 가치에 따라 닌텐도 측에서 방어적으로 가격을 설정한 경우도 있습니다.
  • 유통 마진: 유통사, 물류비, A/S 운영 등 한국 시장 전용 비용이 포함됩니다.

그렇다고 일본판을 무조건 직구하는 건 위험할 수도 있어요

언어가 일본어로 고정되어 있거나, 닌텐도 코리아 계정과 연동이 안 되거나, AS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가격만 보고 구매하기보다는, 내가 어떤 기능을 원하는지에 따라 선택하는 게 더 현명하겠죠.

정리하자면,
닌텐도 스위치2 일본판이 저렴한 이유는 '내수용 기능 제한 모델'이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식 발매 제품은 다국어, 글로벌 연동, A/S 등에서 더 나은 안정성을 제공하니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죠.

 

한국 게이머와 일본 게이머의 입장

구분 일본 게이머 입장 한국 게이머 입장
가격에 대한 반응 "저렴해서 만족, 기본 기능만 써도 충분" "글로벌 기능 포함이라지만, 가격차가 너무 큼"
언어 제한 "일본어만 되지만 불편함은 없음" "일본어 몰라도 게임은 영어로 충분, 직구 고려 중"
계정 연동 "일본 닌텐도 계정이면 문제 없음" "글로벌 계정 연동 가능한 건 장점이지만, 그걸로 15만원 차이는 부담"
직구에 대한 생각 "굳이 글로벌 모델 살 필요 없음" "일본 내수용 직구가 가성비 좋을 수도…"
AS 및 정품 여부 "정품이고 일본 AS 가능하니 문제 없음" "정발품은 AS 가능하지만 가격이 너무 높다"
전반적인 반응 "합리적인 선택" "가격이 불합리하게 느껴진다"

 

결론

- 언어제한에 상관없다 난 일본어 마스터다!! - 일본판

- 일본어를 모른다. 다양한 게임을 즐기고 싶다. 그리고 한국 정발 제품을 사고 싶다 - 글로벌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