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처음 조립하거나 구매하려고 할 때, "그래픽카드 없이도 게임이 될까?" 하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요즘 CPU에는 내장그래픽(iGPU)이 포함된 제품이 많아 그래픽카드를 따로 장착하지 않아도 화면 출력과 가벼운 게임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 걸까요?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
내장그래픽이란?
내장그래픽은 말 그대로 CPU 안에 내장된 그래픽 처리 장치예요. 보통 "iGPU(Integrated GPU)"라고도 부릅니다.
- 별도 그래픽카드 없이도 화면 출력 가능
- 사무용/영상 시청/가벼운 게임 용도로 충분
- 고사양 게임, 3D 렌더링에는 부족할 수 있음
어떤 CPU가 내장그래픽 성능이 좋을까?
내장그래픽의 성능은 CPU마다 다릅니다.
현재 2024년 하반기 ~ 2025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인기 있는 대표 CPU 2개를 비교해볼게요!
항목 | AMD Ryzen 5 8600G | Intel Core i5-13400 |
---|---|---|
내장 GPU | Radeon 760M | Intel UHD 730 |
게임 성능 | FHD 게임 중옵 가능 (LOL, 발로란트, 오버워치2) | 저옵에서 일부 게임 가능 (LOL, 스타2 등) |
메모리 지원 | DDR5 (AM5) | DDR4 / DDR5 (LGA1700) |
가격대 | 22~24만 원 | 24~26만 원 |
요약: 게임 성능은 AMD 8600G가 우위! 사무용/멀티미디어 위주라면 Intel도 충분해요.
실제 게임 성능 예시
FHD 해상도 기준, 중옵 또는 저옵 설정 (고성능으로도 테스트해보았지만.. 프레임 저하가 심해서 포기)
게임 | Ryzen 5 8600G | i5-13400 |
---|---|---|
리그 오브 레전드 | 중옵 80~100fps | 중옵 50~70fps |
발로란트 | 중옵 100fps 이상 | 저옵 60fps 전후 |
오버워치2 | 중옵 60fps 이상 | 저옵 30~40fps |
스타크래프트2 | 매우 원활 | 매우 원활 |
캐주얼/인디 게임 | 대부분 원활 | 대부분 원활 |
내장 그래픽으로만 사용한다면 어떤 작업을 해야할까?
- 학습용으로 구성하려는 분
- 사무용 + 간단한 온라인(캐주얼 인디게임)게임 정도로만 사용하는 유저
- 외장 그래픽 없이 저렴하게 게임도 즐기고 싶은 분
마무리
- 내장그래픽으로도 게임은 돌아간다
- 고사양 게임은 어려워도 LOL, 발로란트, 캐주얼 게임은 무리 없음
- 추후 외장 그래픽 추가도 가능하니 확장성도 OK
그래픽카드 없이도 게임 가능한 PC가 가능하다는 것!
초보자도 부담 없이 조립 가능한 현실적인 구성으로 내장그래픽 CPU의 활용도는 생각보다 꽤 높습니다 😊
초보자도 부담 없이 조립 가능한 현실적인 구성으로 내장그래픽 CPU의 활용도는 생각보다 꽤 높습니다 😊
'컴퓨터 > CPU'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온도 적정 범위는? 고온일 때의 증상과 대처법 (11) | 2025.04.30 |
---|---|
오버클럭이 뭐예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어요! (4) | 2025.04.03 |
CPU 코어와 스레드, 뭐가 다른가요? (11) | 2025.04.02 |
[2025년 가성비 CPU 비교] 인텔 14세대 vs AMD 7000 시리즈, 어떤 걸 고를까? (5) | 2025.03.29 |
AMD Ryzen 9 7950X 리뷰 – 게임 & 크리에이터를 위한 최강 CPU (1) | 2025.03.18 |